티스토리 뷰
아스키코드(ASCII)란?

초창기에는 다양한 방법으로 문자를 표현했는데, 호환 등 여러 문제가 발생했다.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NSI1)에서 ASCII(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; 미국정보교환표준부호)라는 표준 코드 체계를 제시했고, 현재 이 코드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. 아스키는 영문 알파벳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문자 인코딩으로, 컴퓨터와 통신 장비를 비롯한 문자를 사용하는 많은 장치에서 사용되며, 대부분의 문자 인코딩이 아스키에 기초를 두고 있다.
ASCII는 각 문자를 7비트로 표현하므로 총 128(= 27)개의 문자를 표현할 수 있다.
(출처 : 네이버 지식백과, 위키백과)
아스키코드 함수
ord()
함수 : 문자(알파벳) ➡️ 아스키코드(숫자)chr()
함수 : 아스키코드(숫자) ➡️ 문자(알파벳)
- 아스키코드 65 ~ 90 : 알파벳 대문자 A~Z
- 아스키코드 97 ~ 122 : 알파벳 소문자 a~z

이를 활용해서 백준 11654번을 풀어보자!
아스키 코드
문제
알파벳 소문자, 대문자, 숫자 0-9중 하나가 주어졌을 때, 주어진 글자의 아스키 코드값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입력
알파벳 소문자, 대문자, 숫자 0-9 중 하나가 첫째 줄에 주어진다.
출력
입력으로 주어진 글자의 아스키 코드 값을 출력한다.
예제 입력 1 복사
A
예제 출력 1 복사
65
내 풀이
print(ord(input()))
'Study > Baekjo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ython] 백준 2738번 행렬 덧셈 | 2차원 배열 (0) | 2023.03.18 |
---|---|
[Python] 백준 10809번 알파벳 찾기 | str.find(), str.index() (0) | 2023.03.16 |
[Python] 백준 2562번 최댓값 | sys.stdin.readlines() (0) | 2023.03.14 |
[Python] 백준 10871번 X보다 작은 수 | *, join (0) | 2023.03.13 |
[Python] 백준 10807번 개수 세기 | list.count(n) (2) | 2023.03.12 |